고객들이 얼마나 이탈하는지, 이탈률을 고려한 고객생애가치는 어느 수준인지 확인합니다.
⚫ 목차
이탈률이 뭔가요?
- 이 가이드를 보기 전, 활성 구매 유저 수를 확인하셨나요? 이탈률은 활성 구매 유저 수와 연계해서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이탈률은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계산합니다.
📊 이탈률 = 이탈한 구매 유저수 / N개월(N일, N년 등) 전 구매한 유저 수
(개월/년 등은 ‘구매 주기
’를 기반으로 자유롭게 설정 가능합니다)
- 이탈률이 낮을수록 재구매가 반복적으로 일어나며 고객 생애주기가 늘어납니다. 따라서 이탈률이 낮을수록 고객생애가치(LTV)는 높아집니다.
이탈한 유저가 진짜 그 사람이 맞는지, 정확한지는 어떻게 아나요?
→ 라플라스는 저희만의 고도화된 알고리즘을 활용, 다양한 유저 정보(아이디, 이메일 등)를 조합해 한 명의 유저를 가장 정확하게 특정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이탈률을 구하고 있습니다.
고객생애가치(LTV)란?
- ‘고객생애가치는 LTV(lifetime value)로, 한 명의 고객이 커머스에서 누적으로 소비한 금액을 말합니다.
- 고객생애가치 구하는 수식: 객단가/이탈률
코호트 분석에도 고객생애가치가 있던데 뭐가 뭔지 모르겠어요
→ 이탈률/고객생애가치 차트에서 보여드리는 고객생애가치는, 간단하게 객단가를 이탈률로 나눈 수치입니다. 그러나 이 수치는 대략적인 추이를 보여드리기 위해(이탈률이 낮을 수록 LTV가 높아지는 것) 제공하는 간단 수치입니다.
코호트 분석에 있는 LTV는 유저 한 명 한 명을 모두 분석해 정확한 고객생애가치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이탈률에 기반해 간단한 수치를 보고 싶다면 현재 대시보드를 활용하시되, 고객생애가치의 정확한 값은 코호트 분석에서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탈률/고객생애가치(LTV) 차트 이용 방법

- 이탈률 차트를 시각화할 조회 단위와 기간을 선택해 주세요.
- 조회 단위는 차트를 [일별], [주별], [월별], [분기별], [년별]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 조회 기간은 차트를 조회할 기간을 직접 입력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분석하실 기간이 길고 데이터가 많고, 단위가 짧을 수록 AI가 시각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오래걸릴 수 있습니다.
- 브랜드, 판매 채널을 선택해 주세요.
- 이탈 기준을 설정해주세요.
- 이탈 기준이 3개월 이라면: 조회하신 기준 월부터 3개월 동안 구매하지 않은 유저는 이탈로 분류됩니다. ex) 이탈 기준 3개월&기준 월이 22년 5월이라면: 22년 2월 구매 후 구매 이력이 없다면 22년 5월 기준에선 활성 구매 유저가 아님(이탈)
이탈 기준 설정을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어요
→ 이탈 기준은 커머스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그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커머스의 ‘구매 주기’에 맞는 이탈 기준인데요. 구매 주기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여기를 눌러 확인해보세요(구매주기 분석 가이드)
이탈률 차트 해석
- 지속적인 이탈률 감소는 쉽지 않기 때문에, 전반적인 추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있는지를 체크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만약 점차 하향세를 그리고 있다면 기존 제품 소구력이 떨어졌는지, 신제품 출시 계획은 어떤지, 광고비는 효율적으로 집행되고 있는지 등 여러 차원에서 검토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전담 매니저에게 요청하기
이탈률/고객생애가치(LTV) 차트를 사용하시는데 어려움이 있으신가요?
하단의 문의하기 혹은 홈페이지의 채널톡을 통해 문의하세요. 담당 매니저가 데이터 분석에 도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메일 문의: product@laplacete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