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출, 구매건수
- 일별, 주별, 월별, 분기별, 연별에 따라 매출과 구매건수의 변동 추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특정한 기간에 매출/구매건수의 급락 혹은 급등의 발견으로 당 기간 동안 진행 했던 마케팅 혹은 프로모션의 장단점이 있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문당 결제 금액(AOV)
- 평균 주문 금액이 높을 수록 물류 효율성이 높아져 이윤이 좋아집니다. 특정 기간 동안 진행했던 비즈니스 실험이 실질적으로 매출에 얼만큼 반영되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각 마케팅과 프로모션의 지속 가능성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카테고리별 분석
- 기간 별로 매출에 기여도가 높은 카테고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정 시즈널리티에 맞추어 어떤 카테고리를 중점적으로 판매해야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 상품별 분석
- 매출 차트, 비중 차트를 활용하여 기간 별로 기여도가 높은 상품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Top N 분석
- 기간 별로 기여도가 높은 상품을 상위 N개, 혹은 하위 N개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상품수 분석
- 보유하고 있는 상품 수와 매출의 상관관계를 보여줍니다. 상품 수와 매출은 강아지와 산책하는 경우를 떠올리면 이해가 쉽습니다. 사람 (상품)은 꾸준히 앞으로 가지만 강아지 (매출)는 앞서거니 뒷서거니 하면서 단기적으로는 등락이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강아지도 항상 앞으로 가고 있습니다.
- 모든 커머스는 상품 수가 증가할 수록 3개월 내에 매출이 증가하는 것이 매우 일반적입니다. 귀사의 서비스도 이러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상품 수가 꾸준히 증가하는데 매출이 증가하지 않고 있다면, 상품의 질적인 측면에 문제가 있거나, 마케팅 측면에서 신상품이 나왔다는 사실을 많은 고객들에게 충분히 설득하지 못한 것일 수 있습니다.
- 구매횟수별 분석
- 기간 별로 고객들의 구매 횟수를 보여줌으로써 재구매 고객이 많은 서비스인지, 신규고객이 많은 서비스인지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충성고객 (서비스별로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대체로 3회 이상)의 비중이 꾸준히 증가되는지를 확인하여 충성고객의 이탈을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 누적 구매횟수별 분석
- 기간 별로 고객들의 누적 구매 횟수를 보여줌으로써 특정한 기간에 고객들이 재구매를 하게되는지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당 기간 동안 고객의 재유입 경로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 첫구매/재구매 분석
- 첫구매 고객과 재구매 고객의 매출 영향도를 파악합니다. 따라서 기간별로 첫구매 고객과 재구매 고객의 비중을 확인하여 어떤 고객 층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전략이 집중되어야 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 객단가 분석 -> 고객 1인당 매출
- 고객 1인 당 평균 매출을 기간 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문당 결제금액과 비교하여 반복구매가 평균적으로 얼마나 일어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코호트 재구매율
- 첫 구매시점이 같은 사람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해당 그룹의 고객들이 이후에 지속적으로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코호트 분석이라고 합니다. 가로축 (행)의 변화폭은 특정 시점에 첫 구매를 한 고객들이 다음 주기에 어떻게 행동이 변화해가는지 알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활용하고, 세로축 (열)의 변화폭은 첫 구매시점과 무관하게 수치가 상향/하향되는지 볼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전반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코호트 LTV
- 평생 고객가치가 향상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구매가 있는 서비스라면 오른쪽으로 갈 수록 당연히 숫자가 좋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로 세로축을 분석하여 특정 기간이 지났을 때 평균적인 ltv가 증가세인지를 확인합니다. 이를 통해 ltv의 특정 비율을 고객 유치비용 (cac)로 사용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재구매율이 높은 서비스는 대체로 마진율이 낮고, 재구매율이 낮은 서비스는 마진이 높은 산업적 특성이 있습니다. 재구매율이 높은 서비스의 경우 1회 매출을 토대로 고객 유치비용을 결정하는 경우 광고비를 지출할 수 있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ltv 분석이 필수적입니다.
- 판매채널별 매출
- 카페24, Shopify, 스마트스토어 등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채널별로 매출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여줍니다. 해당 차트의 트렌드를 확인하며 자사몰, 외부몰 확장 전략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 최근 구매한 유저수
- 특정 기간 동안 한 번이라도 구매한 유저수를 중복 없이 세어 시각화합니다. 현재 우리 쇼핑몰에서 액티브하게 구매하고 있는 유저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쇼핑몰의 구매주기에 가깝게 기간 값을 입력할수록 인사이트 있는 지표를 얻을 수 있습니다.
- AARRR/퍼널분석